본문 바로가기
경제 및 재테크/경제 관련

2024년 1분기 한국 경제성장률 1.3% 기록…2년 3개월 만에 최고 수준

by 흥실장 2024. 6. 5.
728x90
반응형

2024년 1분기 한국 경제가 수출 호조와 건설투자 및 민간소비 회복 덕분에 1%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. 한국은행은 6월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,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(GDP)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.3%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. 이는 지난 4월 25일 공개된 속보치와 동일한 수치로, 2021년 4분기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입니다.

 

 

주요 성장 요인

  1. 건설투자
    • 건물과 토목 건설이 동반 회복하며 건설투자가 3.3% 증가했습니다. 이는 2019년 4분기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입니다.
  2. 수출
    • 반도체, 휴대전화 등 정보기술(IT) 품목과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1.8% 성장했습니다.
  3. 민간소비
    • 의류 등 재화와 음식, 숙박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나면서 민간소비가 0.7% 증가했습니다.
  4. 정부소비
    •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정부소비가 0.8% 늘어났습니다.

 

 

부정적 요인

  1. 설비투자
    • 운송장비 등의 침체로 설비투자는 2.0% 감소했습니다.
  2. 수입
    • 천연가스와 전기장비 등을 중심으로 수입이 0.4% 감소했습니다.

 

 

순수출과 기타 요소

  1. 순수출
    •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이 1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하여 0.8%포인트(p)를 끌어올렸습니다.
  2. 기타 기여 요소
    • 건설투자 0.5%p, 민간소비 0.3%p, 정부소비 0.1%p가 성장에 기여했습니다. 반면, 설비투자 -0.2%p, 정부투자 -0.1%p는 성장률을 깎아내렸습니다.

 

국민소득 증가

  • 1분기 명목 국민총소득(GNI)은 전분기 대비 3.4% 증가했습니다.
  • 실질 GNI는 2.4% 증가했으며, 이는 교역 조건 개선으로 인한 실질무역손실 축소 덕분입니다.
  • 국민계정 기준년이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되면서 작년 1인당 GNI가 기존 33,745달러에서 36,194달러로 증가했습니다.

 

 

 

업종별 성장률

  • 건설업: 5.5%
  • 농림어업: 1.8%
  • 제조업: 0.9%
  • 서비스업: 0.9%

 

 

 

한국 경제는 이번 1분기 동안 다양한 요인들의 긍정적 영향을 받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, 향후 경제 전망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.

 

 

그러나 여전히 실질 경기는 아주 안좋은 상황인듯 한데요.

그 이유가 뭘까요..?

 

 

1. 인플레이션

이유:

  • 원자재 가격 상승: 에너지, 식품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기업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, 이는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됩니다.
  • 공급망 문제: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문제가 지속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졌습니다.

 

2. 소비자 구매력 감소

이유:

  • 임금 정체: 경제가 성장해도 임금 상승이 이에 못 미치면 실질 구매력이 떨어집니다.
  • 부채 증가: 가계 부채가 늘어나면서 소비 여력이 줄어들게 됩니다.

 

 

 

3. 소득 불평등

이유:

  • 부의 집중: 경제 성장의 혜택이 상위 소득 계층에 집중되면 중·하위 소득 계층의 경제적 여건은 개선되지 않습니다.
  • 사회 안전망 부족: 사회 안전망이 취약하면 경제적 충격에 대한 대응 능력이 낮아집니다.

 

 

4. 정책적 요인

이유:

  • 통화정책: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이 경제 성장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재정정책: 정부의 재정지출 축소가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5. 외부 충격

이유:

  • 국제 정세: 무역 분쟁, 전쟁 등 국제적인 사건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.
  • 자연재해: 자연재해로 인한 생산 차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구체적 예시

  1. 에너지 가격 상승: 2022년 이후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크게 증가했습니다.
  2. 공급망 병목 현상: 팬데믹 이후 반도체 부족 등 공급망 문제로 여러 산업이 타격을 받았습니다.
  3. 부동산 시장 불안: 부동산 가격 급등과 이에 따른 대출 증가로 소비자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었습니다.

 

경제 성장률은 통계적으로 긍정적일 수 있지만, 물가 상승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실제 경기 체감은 악화될 수 있습니다. 이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맞물려 발생하는 현상으로, 단순히 성장률만으로 경제의 모든 측면을 평가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.

728x90
반응형